YONSEI JEIL HOSPITAL

관절

고관절

퇴행성 골관절염

고관절에 염증성 병변이 발생하는 질환을 고관절염이라고 합니다. 가장 흔한 ‘퇴행성 관절염’은 특별한 원인 없이 나이가 들면서 관절이 나빠지는 1차성 퇴행성 고관절염과 선천성 및 후천성 질환 또는 외상으로 관절이 변형되거나 손상된 후 관절이 나빠지는 2차성 퇴행성 고관절염으로 구분됩니다.

증상
  • 01

    오래 앉아 있다가 일어나 걸을 때 통증이 나타났다가 걷는 동안 서서히 완화된다.

  • 02

    퇴행성 변화가 심해지면 고관절을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된다.

  • 03

    다리를 벌릴 때 극심한 통증이 나타난다.

  • 04

    통증으로 똑바로 걷지 못하고 뒤뚱거리거나 절뚝이며 걷는다.

치료
  • 초기에는 약물치료, 물리치료, 운동치료 등을 시행하다가 통증이 심해지면 인공관절치환술을 시행하게 됩니다.
인공관절치환술
  • 인공관절 수술은 회복기간이 지난 후 통증이 거의 없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. 일부 환자들은 수술 후 수술 부위가 따끔거리거나 멍멍하다고 표현하곤 하는 데, 이는 인공관절이 인체에 적응해 가는 과정입니다. 이러한 증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꾸준한 재활이 필요합니다.
인공관절치환술 후 주의사항
  • 01

    수술 후 3개월까지 탈구 예방 자세를 취합니다.

  • 02

    수술 후에도 반드시 정기검진이 필요합니다.

  • 03

    근력강화에 도움이 되는 관절운동을 수시로 실시합니다.

  • 04

    운동 시에는 넘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

  • 05

    넘어졌다면 가까운 병원을 찾아 이상 유무를 확인하세요.

  • 06

    심한 운동이나 장시간 보행 등 관절에 무리가 가는 행동은 삼가세요.

  • 07

    인공관절은 금속물질입니다. 공항 보안장치에 감지될 수 있으니, 관계자에게 인공관절 수술 환자임을 사전에 고지하세요.

탈구예방자세
  • 다리를 꼬거나 쪼그려 앉지 않습니다.
  • 옆으로 돌아 누워 잘 때는 다리 사이에 베개를 끼웁니다.
  • 신발을 신거나 화장실 변기 사용 시 과도한 움직임을 피합니다.
  • 가능하면 의자 및 침대 사용을 권합니다.

간편 예약신청

문의를 남겨주시면 전문 상담원이 에약 및 상담을 도와드리겠습니다. 개인정보수집이용 동의